여성의 국방의 의무 논의
- Yongchul Ko - Editor
- 2023년 12월 18일
- 2분 분량

우리나라의 병역 제도상, 남성은 의무적으로 군복무를 해야 한다. 여성은 병역의무가 면제되어 있으며, 병역 대체 의무도 없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여성의 국방의 의무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여성의 국방의 의무에 대한 찬성론자들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다.
첫째, 국방은 남성만의 의무가 아니라 모든 국민의 의무라는 것이다. 국방은 국가의 존립과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중요한 일이며, 이에 모든 국민이 동등하게 기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여성의 군복무는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와 성평등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군복무는 여성에게 다양한 경험과 역량을 제공하고, 사회 진출의 기회를 늘릴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여성의 군복무는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군복무를 통해 여성이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면,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가족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여성의 국방의 의무에 대한 반대론자들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다.
첫째, 여성과 남성의 신체적, 정신적 차이로 인해 군복무가 여성에게 불평등한 조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군복무는 전투를 수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는 남성보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약한 여성에게 불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여성의 군복무는 가정의 돌봄 책임을 여성에게만 지우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군복무를 통해 여성이 가정에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면, 가정의 돌봄 책임은 여성에게만 가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여성의 군복무는 국가 안보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여성의 군복무는 전투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국가 안보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해 보면, 여성의 국방의 의무는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복잡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여성의 국방의 의무를 도입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은 이러한 논의를 충분히 고려한 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여성의 국방의 의무를 도입하는 데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여성과 남성의 신체적, 정신적 차이로 인해 군복무가 여성에게 불평등한 조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의 군복무가 가정의 돌봄 책임을 여성에게만 지우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여성의 국방의 의무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여성의 군복무에 대한 여성들의 의사를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 여성의 국방의 의무는 여성에게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여성들의 의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둘째, 여성의 군복무를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여성의 군복무가 여성에게 불평등한 조건이 되지 않도록, 여성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군복무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여성의 군복무가 가정의 돌봄 책임을 여성에게만 지우는 역할을 하지 않도록, 남성의 가사와 육아 참여를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한 후, 여성의 국방의 의무에 대한 합리적인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싱가포르의소리 편집장 고용철]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