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청소년기의 문학의 중요성
- James Lee
- 2022년 10월 27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2년 10월 29일

어느 시대보다 현 시대는 국제정세가 오랫동안 혼란의 격동기를 겪고 있습니다.
끊어지지 않는 전염병, 종교 간의 이념 갈등, 경제 전쟁, 문화와 문맹간의 심한 격차로 인한 세대 간의 갈등 등으로 이 각박한 세상사에 문학인 한 사람으로써 마음이 무겁습니다.
문학은 사람과의 소통이자 삶을 이야기하는 도구가 되어야 합니다.
특히나 인류의 미래를 짊어지고 갈 청소년들에게는 문학의 중요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문학의 가치를 춘원 이광수는 “생물이 생존함에는 음식이 필요한 것과 같이 인류의 정이 생존함에는 문학이 필요하다. 원래 문학은 다만 정적 만족과 유희로 생겨났음이며 또 다년간 그렇게 알아 왔으나 점점 진보 발전하여 이성이 첨가하여 사상과 이상을 지배하는 주권자 되며 인생 문제 해결의 담임자가 된지라” 라고 대한흥학보에 기재 했었습니다.
우리나라나 전세계에서나 19세기 20세기는 문학의 전성기 이었습니다. 춘원이 그의 친일 행적으로 인해 그의 가치가 폄하된 부분들이 있지만 그 당시에는 그의 영향력이 대단했습니다. 21세기 현재의 문학도들의 위치나 현대인들이 지금 문학을 바라보는 시선과는 굉장히 달랐습니다.
그럼 현대에서의 문학은 어떤 역학을 할 수 있을 지 생각을 해 보아야 합니다. 단순히 일회성으로 소비되는 작은 이야기가 아니 “문학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알아야 아이들에 대한 교육도 적절히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청소년기에 여러 가지 삶의 모습을 넓고 풍부하게 경험시켜 주어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의 생각이나 모험을 상상으로 체험하고 재정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문학작품을 통해 문제 해결의 통찰력을 길러줍니다. 다른 사람의 어려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나라와 민족과 민주적 이념을 사랑하도록 돕습니다. 윤리가치를 알게 해 올바른 인격의 기초를 닦도록 돕습니다. 흥미와 정서적 감성을 돕습니다. 좋은 문학작품에 대한 애정과 취향을 개발합니다.
현재 초등학생들에게도 논술이 중요시 되고 있습니다. 비 문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학도 접해야 하는데 그 동안 수능위주의 문학교육으로 치우치며 논술을 위한 문학교육은 부족한 실태입니다. 한국 현대문학은 서구 열강과 대비하여 비교적 늦게 진행된 터라 한 세기 정도에 불과합니다. 현대문학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등학생들에게 현대문학을 가르쳐야 하는 이유는 러셀의 말처럼 다양한 경험을 하고 나라와 민족의 이념을 이해하여 다문화적인 환경을 받아들이고 공통적인 가치와 윤리를 알아서 미래 시대를 준비함에 의의가 있다고 불 수 있습니다.
위가 아닌 아래를 바라보는 문학, 일상의 소중한 가치를 일깨워 주는 문학이 필요 합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곳 싱가포르에 (사)한국문인협회 싱가포르 지부가 있어서 부분적이나마 한인사회에 문화예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VOS 편집장 이건기 드림]
Comments